근묵자흑 (2) 썸네일형 리스트형 맹모삼천지교 뜻과 유래 - 엄마만 노력한다고 되는 게 아닙니다 오늘은 유명한 고사성어 맹모삼천지교 뜻과 유래를 알아보겠습니다. 맹모삼천지교는 중국의 유명한 사상가이자 유학자인 맹자의 어머니가 맹자를 위해 세 번 이사를 했다는 뜻입니다. 우리나라에 율곡 이이의 어머니 신사임당이 있었다면, 중국에는 맹자의 어머니가 있었습니다. 맹자의 어머니는 맹자가 어렸을 때부터 주위의 환경이 아들에게 얼마나 많은 영향을 주는지 깨달았으며, 맹자를 위해 기꺼이 세 번의 이사를 감수했습니다. 그렇다면, 지금의 부모님들은 우리 자녀들을 위해서 어떤 노력을 해야 할까요? [목차여기] 맹모삼천지교 뜻 맹모삼천지교 뜻과 한자 풀이를 더욱 자세하게 알고 싶다면, 네이버 한자사전에서 음, 한자, 단어, 뜻풀이, 부수 등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아래 버튼을 눌러 바로 확인하세요. 한자사전 맹모삼천지.. 교언영색 뜻과 유래 - 아부하는 사람보다 더 나쁜 사람 오늘은 사자성어 교언영색의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 등을 알아 보겠습니다. 흔히 그럴싸한 표정을 지으며 교묘하게 말을 꾸며내는 사람을 비유할 때 교언영색이라고 하는데, 일찍이 공자는 "교묘한 말과 아첨하는 얼굴을 하는 사람은 어진 사람이 적다."라고 하였습니다. 학생이나 성인이나 사람은 기본적으로 조리있게 말하는 능력이 있으면 신뢰를 얻을 수 있는데, 자신감과 확신에 찬 말투와 그에 걸맞은 행동이 자연스럽게 사람들에게 각인되기 때문이죠. 그렇다면, 조리있는 말과 자연스러운 행동을 하는 사람 중에 어떻게 아첨하는 사람을 알아낼 수 있을까요? 공자가 했던 말에 그 해답이 있습니다. 교묘한 말과 아첨하는 얼굴을 하는 사람 중에는 '어진' 사람이 별로 없다는 것입니다. '어질다'는 형용사로 '마음이 너그럽..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