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어린이과학

(2)
차가운 유리컵의 표면에는 왜 물방울이 생길까요? 수증기가 물로 변화하는 과정을 알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수증기와 물방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유리컵에 차가운 얼음과 물을 따르면 유리컵 표면이 뿌옇게 흐려지다가 나중에 물방울로 변하는 것을 본 적이 있을 겁니다. 마치 유리컵 안의 물이 밖으로 새어 나오는 것처럼 보여서 신기할 때가 많습니다. 하지만, 차가운 우유를 따라 봐도 마찬가지로 물방울이 생깁니다. 컵 안의 내용물이 새어 나온다면 우유는 하얀 물방울이 생겨야겠죠? 그렇다면, 왜 차가운 유리컵의 표면에는 물방울이 생길까요? 물질의 세 가지 상태 '고체', '액체', '기체'. 물질은 보통 세 가지 상태 '고체', '액체', '기체'로 이 세상에 존재합니다. 모두 학교 과학 시간에 배웠을 거라 생각합니다. 고체의 대표적인 물질은 길가에서..
지렁이는 과연 뒤로 갈 수 있을까요? 지렁이가 움직이는 원리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지렁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지렁이는 꿈틀꿈틀 움직이는 게 뱀과 비슷해서 징그러워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지렁이는 사람에게 피해를 끼치지 않는 아주 유익한 동물입니다. 지렁이는 주로 땅 속에서 살고 있어서 평소에는 그 모습을 볼 일이 별로 없습니다. 지렁이의 크기는 작은 것은 불과 2~5㎜에서 큰 것은 무려 2~3m나 됩니다. 지구 상에는 웬만한 뱀보다 큰 지렁이도 있답니다. 그런데, 비 오는 날이면 가끔씩 지렁이가 나와서 꿈틀꿈틀 열심히 기어가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땅 속에서 살아가는 지렁이가 비 오는 날 밖에 나와서 활동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지렁이는 사람처럼 입과 코로 숨을 쉬지 않고 피부로 숨을 쉬는 동물입니다. 비가 오면 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