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강부회 (3) 썸네일형 리스트형 지록위마 뜻과 유래 - 똑똑함과 정직함은 상관 없습니다. 오늘은 사자성어 지록위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여러분은 혹시 살면서 뻔히 내다 보이는 거짓말을 들어 본 적이 있나요? 듣는 사람이 알던 모르던 상관없이 대놓고 거짓말을 하는 그런 경우 말입니다. 마치 사진 속의 사슴을 사람들에게 계속 말이라고 우기면 어느 순간 진짜로 말이라고 해야 될 것 같은 그런 상황이 발생합니다. 왜 그런 현상이 발생할까요? 사자성어 지록위마는 누군가를 감쪽 같이 속혀 헷갈리게 만드는 조삼모사와는 조금 다른데요. 지록위마의 뜻을 보겠습니다. 조삼모사 뜻과 유래 -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르는 사람 안녕하세요. 오늘은 사자성어 조삼모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어린이 여러분도 오징어게임 아시죠? 미국의 유명한 엔터테인먼트 OTT(Over the top) 기업인 넷플릭스에서 방영한 유명.. 견강부회 뜻과 유래 - 욕심을 멈추면 평화가 온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사자성어 견강부회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여러분은 욕심이 많은 사람의 특징이 뭔지 알고 계세요? 제가 살면서 배운 것 중에 하나가 욕심이 많은 사람은 남의 눈치를 보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물론, 욕심에는 좋은 욕심도 있고 나쁜 욕심도 있습니다. 좋은 욕심은 예를 들어 공부 욕심, 운동 욕심, 독서 욕심 등 남과 상관없이 자신의 노력여하에 따라 좋아질 수 있는 그런 욕심입니다. 하지만, 나쁜 욕심은 대부분 남에게 안 좋은 영향을 끼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 나쁜 욕심을 부리는 것을 '아전인수(我田引水)'라고 한 것처럼, 견강부회 또한 나쁜 욕심으로 말도 안되는 소리를 이리저리 갖다 붙여 자신을 유리하게 만들거나 우기는 것입니다. 아전인수 뜻과 유래 - 자신의 이.. 아전인수 뜻과 유래 - 자신의 이익만 생각하는 사람 안녕하세요. 오늘은 사자성어 아전인수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위의 사진처럼 사람들이 차례대로 줄을 서 있는데 뒤늦게 온 사람이 새치기 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습니다. 순서를 지키지 않고 새치기를 하면 자신은 당장 이익을 보겠지만, 이미 와서 대기하고 있던 사람들은 모두 손해를 보게 됩니다. 이처럼 아전인수는 자신만의 이익을 먼저 생각하고 행동하는 사람을 꼬집는 말인데, 좀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아전인수 뜻 아전인수는 한자어로 我(나 아), 田(밭 전), 引(끌 인), 水(물 수) 라고 쓰는데, 한자어를 그대로 옮기면 '자신의 논에만 물을 끌어 넣는 것'을 뜻합니다. 농사를 지으려면 많은 사람들이 물이 필요한데, 자기의 이익을 위해 남들이야 어찌되던지 자신의 논에만 물을 끌어와 넣고 있으니 바로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