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

(68)
동상이몽 뜻과 유래 - 아무도 모르는 게 사람 마음입니다 오늘은 사자성어 동상이몽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가끔 친구나 가족과 행복하게 지내는 것 같아도 상대방이 어떤 생각을 하는지 알쏭달쏭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사람은 자신이 원하는 바나 생각하는 것들을 다른 사람에게 모두 말하지는 않으니까 당연히 그 사람의 마음을 전부 알 수는 없겠죠. 옛말에 '열길 물 속은 알아도 한길 사람 속은 모른다.'는 말이 있듯이, 옆에서 함께 웃고 즐거워도 결국 사람은 제각각 자신만의 생각에 빠지기 마련입니다. 그나저나 동상이몽 하니까 어디서 많이 들어본 것 같죠? 😀😀 아는 분은 알겠지만 요즘 SBS에서 월요일 밤에 방영하는 TV프로그램 제목이 '동상이몽2-너는 내운명'인데요. 결혼한 연예인들이 자신의 남편 혹은 자신의 아내와의 에피소드를 풀어내는 프로그램이라고 합니다. 시작..
읍참마속 뜻과 유래 - 공정과 상식을 위해 필요한 것 오늘은 사자성어 읍참마속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여러분, 위 사진의 '정의의 여신상'에 눈가리개를 씌운 이유는 무엇일까요? 아시는 분은 잘 아시겠지만, 그건 바로 정의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공정함'이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보통 법원이나 헌법 등 법과 관련된 상징으로 정의의 여신상을 자주 사용하는데, 정의의 여신상을 표현한 조각상에는 칼과 저울 그리고 눈가리개를 꼭 새겨 넣습니다. 각각의 도구가 의미하는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오른손의 칼 : 법의 힘을 의미합니다. 누구라도 법을 지켜야 하며, 법은 무엇보다도 무서운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왼손의 저울 : 법의 엄격함을 의미합니다. 법의 기준에 맞게 잘잘못을 정확하게 따지겠다는 의미입니다. 눈가리개 : 법의 공정함을 의미합니다. 누구나 평등하게 법의..
지록위마 뜻과 유래 - 똑똑함과 정직함은 상관 없습니다. 오늘은 사자성어 지록위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여러분은 혹시 살면서 뻔히 내다 보이는 거짓말을 들어 본 적이 있나요? 듣는 사람이 알던 모르던 상관없이 대놓고 거짓말을 하는 그런 경우 말입니다. 마치 사진 속의 사슴을 사람들에게 계속 말이라고 우기면 어느 순간 진짜로 말이라고 해야 될 것 같은 그런 상황이 발생합니다. 왜 그런 현상이 발생할까요? 사자성어 지록위마는 누군가를 감쪽 같이 속혀 헷갈리게 만드는 조삼모사와는 조금 다른데요. 지록위마의 뜻을 보겠습니다. 조삼모사 뜻과 유래 -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르는 사람 안녕하세요. 오늘은 사자성어 조삼모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어린이 여러분도 오징어게임 아시죠? 미국의 유명한 엔터테인먼트 OTT(Over the top) 기업인 넷플릭스에서 방영한 유명..
기호지세 뜻과 유래 - 그만 둘 수 없을 땐 그 상황을 즐기세요 오늘은 사자성어 『기호지세』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기호지세에는 호랑이가 나오는데, 한번 호랑이 등에 올라탄 후에는 멈출 수도 내려올 수도 없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아래 사진을 보면 소녀가 호랑이 등에 올라 타 있는데 가짜 호랑이임에도 굉장히 위협적입니다. 소녀보다 몇 배는 커보이는 저 호랑이 조차 실제 호랑이보다는 작은 경우가 많습니다. 옛날에 우리나라에서 실제로 살았던 '시베리아 호랑이'는 수컷의 경우 길이가 최대 300cm~400cm, 몸무게가 370kg 이상까지 자라서 거의 사람 몸집보다 3~4배나 크고, 달리기는 시속 약 60km/h의 빠른 속도로 사람보다 3~4배 빠른 동물이었습니다. 이런 거대하고 빠른 호랑이가 미친 듯이 달리는 와중이라면 그 위에 올라탄 누구라도 내려 오기 힘들 겁니다...
유비무환 뜻과 유래 - 비 오는 날 엄마가 건네준 우산 안녕하세요. 오늘은 사자성어 유비무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여러분 중에서 비오는 날 우산이 없어 고생해본 사람 있나요? 저는 쨍쨍한 날씨에 우산을 건네 주시던 엄마의 성의를 무시하고 그냥 나갔다가 사진 속의 개구리처럼 비를 쫄딱 맞은 적이 몇 번 있었습니다. 음.. 역시 부모님 말씀 들어서 손해볼 거 없다는 말은 사실입니다. 😢😢 아무튼 엄마는 해가 빤히 보이는 맑은 날에도 어떻게 그렇게 비 올 날씨를 잘 알고 대비하셨는지, 지금이야 휴대폰에서 '오늘의 날씨'를 찾아보면 그만이지만 그 땐 아무것도 없었는데... 지금 생각해도 참 아리송 합니다. 엄마가 우리에게 건네 주시던 우산처럼 앞으로 생길 일에 대비하여 미리 준비하면 아무런 걱정이 없을 것입니다. 이런 경우를 바로 유비무환이라고 하는데, 유비무환..
각주구검 뜻과 유래 - 변화를 두려워 하는 사람 안녕하세요. 오늘은 사자성어 각주구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어린이 여러분은 사진 속의 기계가 무언지 아시나요? 컴퓨터 키보드처럼 자판도 달려 있어서 글씨를 입력하는 기계 같긴 한데, 딱히 잘 모르는 학생이 많을 겁니다. 사진 속 기계는 바로 '타자기'입니다. 예전 컴퓨터가 나오기 전에는 종이에 타이핑할 때 바로 이 타자기를 사용했답니다. 이 타자기의 자판이 발전하여 지금의 컴퓨터 키보드가 된 것입니다. 정말 신기하죠? 😳😳 물론, 요즘도 타자기를 사용하는 사람들도 더러 있습니다. 옛 향수에 젖어 아직도 타자기 끝에 종이를 넣고 자판을 '타닥~타닥~' 두드리면서 글씨를 쓰는 느낌을 좋아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미 우리는 컴퓨터 키보드를 거쳐 액정에 손가락으로 휘갈기거나 심지어는 말을 하면 글로 바뀌는..
안빈낙도 뜻과 유래 - 집이 작아도 행복할 수 있는 이유 안녕하세요. 오늘은 사자성어 안빈낙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옛날 사람들은 대부분 위 사진과 같이 나무나 흙으로 집의 뼈대와 벽을 만들고 풀과 짚단 등을 덮어 집을 지었습니다. 집의 규모도 쓸데없이 크지 않고 자신들이 사는데 불편함이 없을 정도의 크기면 만족하였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의, 식, 주를 직접 만들고 구해야 하던 시대였기 때문에, 뭐든 과하면 그만큼 신경써야 할 것들도 많아졌습니다. 먹을 것과 입을 것 또한 귀하던 때라서 자신에게 필요한 만큼만 있어도 풍족하다고 여기던 시대였습니다. 제가 처음부터 굳이 옛날 시대상을 말씀 드린 이유는, 안빈낙도의 뜻만 보고 현 시대에 그대로 반영을 할까 싶어 말씀 드린 겁니다. 안빈낙도 뜻 안빈낙도는 한자어로 安(편안할 안), 貧(가난할 빈), 樂(즐거울..
결초보은 뜻과 유래 - 고양이가 자꾸 뭘 물어오는 이유 안녕하세요. 오늘은 사자성어 결초보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여러분 중에 고양이를 키우거나 동네 길고양이와 친하게 지내는 분은 겪었을지 모를 엽기적인 경험. 그건 바로 고양이가 자꾸 뭘 물어오는 것인데, 대부분 동물의 죽은 사체를 물고 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왜 고양이는 이런 행동을 하는 걸까요? 그 이유는 자신과 함께 생활하는 사람이나 친절하게 대해준 사람에게 고마움을 표시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가끔은 '동물이 인간보다 낫다!'고 생각한 적이 있는데, 인간과 어울리며 세상을 살아가는 대부분의 동물들은 고마움을 표현하고 의리를 지킬줄 아는 그야말로 멋쟁이들이기 때문입니다. 결초보은 뜻 결초보은은 한자어로 結(맺을 결), 草(풀 초), 報(갚을 보), 恩(은혜 은) 이라고 쓰는데, 말 그대로 '풀을 묶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