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와신상담

(3)
구밀복검 뜻과 유래 - 내 안에 칼 있다 오늘은 사자성어 구밀복검 뜻과 유래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내 안에 칼이 있다는 제목이 좀 웃기지만, 실제로 구밀복검에 그런 뜻이 담겨 있습니다. 사자성어 구밀복검(口蜜腹劍)은 '입에는 꿀을 바르고 배에는 칼을 품고 있다.'는 뜻이랍니다. 그렇다면, 구밀복검은 어떤 경우에 인용되는 사자성어일까요? 언뜻 생각나는 경우는 다음의 두 가지 정도일 것 같습니다. 첫째, 아첨하는 자. 보통 아첨하는 자들이 위와 같이 행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신에게 이득을 안겨줄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사람에게 잘 보이기 위해 온갖 미사여구를 동원하여 칭찬과 좋은 말을 늘어 놓지만, 그 속 마음은 결국 자신의 출세나 금전적 이득에 사로 잡혀 있습니다. 또한, 반대로 자신의 이득과는 상관 없는 사람들은 무시하거나 업신여기는 것..
오월동주 뜻과 유래 - 같은 편이 아니어도 사랑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사자성어 오월동주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TV드라마 '사랑의 불시착'은 배우 손예진씨와 현빈씨가 출연하여 화제가 된 드라마인데요. 드라마에서는 한국인(손예진씨)이 탄 패러글라이딩이 북한에 불시착한 후, 북한의 장교(현빈씨)를 만나 도움을 받으면서 벌어지는 내용이 그려집니다. 한국과 북한은 원래 한민족이지만 1950년 한국전쟁 이후 서로 적이되어 약 70여년동안 휴전상태로 대치 상태에 있습니다. 세월이 많이 흘러 이제 왕래도 잦아지고 '사랑의 불시착' 같은 스토리의 드라마도 자주 만들어질 만큼 분위기가 많이 좋아 졌습니다. 그러나, 한국과 북한은 종전이 아닌 협정에 의해 전쟁을 쉬고 있는 휴전 상태인 것은 분명합니다. 만약 이런 두 나라 사이에 공공의 적이 생긴다면 어떻게 될까요? ..
군계일학 뜻과 유래 - 스스로 빛나는 보석 같은 존재 안녕하세요. 오늘은 사자성어 군계일학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학(두루미)은 예로 부터 깨끗하고 아름다움을 간직한 새로 표현되었습니다. 우리 선조들은 학을 통해 청렴하고 청빈한 백성의 세상, 즉 세상이 평온하여 백성이 행복한 태평성대의 세상을 꿈꿔 왔습니다. 또한 신선이 사는 세계를 표현할 때도 학은 단골처럼 등장하였습니다. 이처럼 학은 어떠한 경우에도 때가 묻지 않은 순수한 동물로 그려졌으며, 욕심을 부리지 않고 유유자적하며 자연을 벗삼아 살아갔던 선비에 빗대기도 했습니다. 우리나라 조상들에게 두루 사랑받았던 학을 사자성어 군계일학에서는 어떻게 표현하고 있을까요? 이제부터 알아볼까요? 군계일학 뜻 군계일학은 한자어로 群(무리 군), 鷄(닭 계), 一(하나 일), 鶴(학 학) 이라고 쓰는데, 말 그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