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

(68)
천고마비 뜻과 유래 - 결실을 이루는 계절 오늘은 사자성어 천고마비의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 등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천고마비라는 말은 아마도 거의 모든 사람들이 알 정도로 우리나라에서도 흔히 사용하는 사자성어 중에 하나입니다. 특히 소설, 시, 수필, 신문기사나 광고 등에서도 셀 수 없을 정도로 자주 인용 되는데요. 그 이유는 천고마비가 우리나라의 사계절 중 결실의 계절인 '가을'을 표현하는 사자성어이기 때문입니다. 지구의 중위도 정도에 위치한 온대 지방에서 뚜렷하게 나타나는 4계절은 보통 봄, 여름, 가을, 겨울로 나뉘는데 지역마다 편차가 있긴 하지만 봄부터 가을 사이에 따뜻한 날씨를 유지하다가 겨울에 추워집니다. 겨울이 되기 바로 전의 계절인 가을은 봄과 여름에 심었던 농작물이나 과일 등을 재배하는 계절이라서 대개 '결실의 계절..
일취월장 뜻과 유래 - 성장하는 사람들의 특별한 비밀 오늘은 사자성어 일취월장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 등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공부는 매일 하는데 성적이 도통 오르지 않는 학생이거나 회사에 인정받고 싶어 하루종일 여기저기 뛰어 다니는 새내기 직장인이 들으면 귀가 번쩍 트일 기가막힌 정보가 있습니다. 바로 '성장하는 사람들의 특별한 비밀'을 지금부터 말씀 드리려고 합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긍정적인 방향으로 성장하는 사람들을 일컬어 일취월장하고 있다고 말하는데, 과연 이런 사람들은 어떤 능력을 가지고 있기에 매일 성장하는 마법을 부리는 걸까요? 정말 궁금하지만 그 전에 한 가지 알아야 할 부분이 있는데, 바로 이런 사람들이 일취월장하는 순간을 대부분의 사람들은 볼 수가 없다는 겁니다. 심한 경우에는 일취월장하고 있는 본인조차도 그걸 모르는 경..
죽마고우 뜻과 유래 - 오래된 친구는 오래된 대로 오늘은 사자성어 죽마고우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죽마고우라고 하면 보통 '어렸을 적 함께 어울려 놀았던 친구'를 의미하는데, 우리나라에서 정말 자주 쓰이는 사자성어 중에 하나입니다. 사람들이 흔하게 이 말을 사용하는 것에는 아련한 『향수(鄕愁)¹』와 그 시절 친구들과 어울려서 하루를 보냈던 기억의 조각들이 좋은 감정으로 남아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가끔은 옛 일이 떠올라 웃음 지으며 그 때의 친구들을 기억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좋은 기억은 좋았던 대로 남겨두는 것이 현명합니다. 사람들은 대부분 오래된 기억을 자신도 모르게 원하는 방향으로만 떠올리는 습관이 있습니다. 그렇다고, 좋았던 기억으로 남은 것을 굳이 비틀어야 한다는 얘기는 아닙니다. 어느 날, 어렸을 때의 죽..
호가호위 뜻과 유래 - 곰 같은 끈기가 결국 여우의 잔꾀를 이긴다 오늘은 사자성어 호가호위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사자성어에는 유독 동물이 많이 나오는데, 호가호위의 주인공은 바로 여우입니다. 여우는 동물의 세계에서 호랑이나 사자처럼 최상단의 포식자는 아니지만 중간에서 그럭저럭 자신의 앞가림을 제법 잘하면서 살아가는 동물 중에 하나입니다. 수 많은 우화나 동화책에서도 여우는 자신이 처한 위기를 잘 넘기고 잔꾀에 능한 동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은데, 호가호위의 유래에서도 여우는 기지를 발휘하여 죽을 고비를 넘기는 것과 동시에 자신에게 유리한 상황을 만드는 탁월함을 보입니다. 하지만, 대부분 여우의 처세술을 마냥 좋게만 여기지는 않는데요. 그 이유는 너무 자신의 이익만 생각하고 자신보다 약한 것에는 인색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19..
유유자적 뜻과 유래 - 꼭 속세를 떠나야 마음이 편해질까 오늘은 사자성어 유유자적의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 등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흔히들 '유유자적하는 삶'을 살고 싶다고 말을 많이 하는데, 이 뜻은 보통 복잡한 도시에서 벗어나 조용한 자연을 벗삼아 속세를 등지고 사는 것을 말합니다. 유유자적에서 '유유(悠悠)'는 여러가지 뜻이 있지만 여기에서는 '한가롭게 자유로운 상태'를 의미하고, 자적(自適)은 '자기 마음대로 행동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한마디로 몸과 마음이 자유롭고, 행동하는 데 제약이 없는 상태에 이르는 것을 유유자적한 삶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유유자적 뜻 사자성어 유유자적은 悠(멀, 한가할 유), 悠(멀, 한가할 유), 自(스스로 자), 適(맞을, 좇을 적)이라고 쓰는데, 한자어 그대로 해석하면 '스스로 행동을 결정할 수 있는 한가로운..
견물생심 뜻과 유래 - 당신의 양심을 믿지 마세요 오늘은 사자성어 견물생심의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 등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사진처럼 은행에만 있을 것 같은 금괴 수 백개가 자신의 옆에 쌓여 있으면 누구라도 한 개 쯤은 가지고 싶은 마음이 생길 것입니다. 남의 물건에 손을 대면 안된다는 것 쯤은 알고 있으니 실제로 행동에 옮기는 사람은 드물겠지만 그 마음이야 어쩔 수 없는 것이죠. 이처럼 남의 물건을 보면 본능적으로 가지고 싶은 마음이 생길 때를 바로 견물생심이라고 합니다. 언뜻 보면 견물생심이 무조건 옳지 않은 마음가짐이라고 느낄 수 있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사람이라면 누구나 생겨나는 마음인데, 중요한 것은 그런 마음이 나쁜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어떻게 마음을 다스려야 할지 생각해 보는 것입니다.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견물생심 뜻 사..
교언영색 뜻과 유래 - 아부하는 사람보다 더 나쁜 사람 오늘은 사자성어 교언영색의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 등을 알아 보겠습니다. 흔히 그럴싸한 표정을 지으며 교묘하게 말을 꾸며내는 사람을 비유할 때 교언영색이라고 하는데, 일찍이 공자는 "교묘한 말과 아첨하는 얼굴을 하는 사람은 어진 사람이 적다."라고 하였습니다. 학생이나 성인이나 사람은 기본적으로 조리있게 말하는 능력이 있으면 신뢰를 얻을 수 있는데, 자신감과 확신에 찬 말투와 그에 걸맞은 행동이 자연스럽게 사람들에게 각인되기 때문이죠. 그렇다면, 조리있는 말과 자연스러운 행동을 하는 사람 중에 어떻게 아첨하는 사람을 알아낼 수 있을까요? 공자가 했던 말에 그 해답이 있습니다. 교묘한 말과 아첨하는 얼굴을 하는 사람 중에는 '어진' 사람이 별로 없다는 것입니다. '어질다'는 형용사로 '마음이 너그럽..
순망치한 뜻과 유래 - 니모의 집은 어디일까요? 오늘은 사자성어 순망치한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픽사에서 제작한 애니메이션 '니모를 찾아서'는 귀여운 물고기 니모와 아빠 말린의 대모험을 그린 극장용 장편 애니메이션입니다. 니모를 찾아서에서는 초반에 니모와 아빠가 살고 있는 바닷 속 집이 나오는데 바람에 날리듯이 하늘 하늘 거리는 것, 바로 말미잘입니다. 그런데, 사실 말미잘은 정말 무서운 녀석인데요. 이미지를 보면 바닷속에 사는 화려한 식물처럼 보이지만, 사실 말미잘은 바닷속 생물을 잡아 먹고 사는 엄연한 동물입니다. 길다랗게 하늘 거리는 독을 가진 촉수로 플랑크톤이나 새우, 게, 물고기 등을 잡아 먹고 사는데, 다 자란 말미잘은 꽤 커다란 물고기도 잡아 먹는다고 합니다. 그럼 니모랑 아빠 말린은 어떻게 무서운 말미잘에서 살 수 있는 걸까요? 니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