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자성어 고사성어 (11) 썸네일형 리스트형 오월동주 뜻과 유래 - 같은 편이 아니어도 사랑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사자성어 오월동주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TV드라마 '사랑의 불시착'은 배우 손예진씨와 현빈씨가 출연하여 화제가 된 드라마인데요. 드라마에서는 한국인(손예진씨)이 탄 패러글라이딩이 북한에 불시착한 후, 북한의 장교(현빈씨)를 만나 도움을 받으면서 벌어지는 내용이 그려집니다. 한국과 북한은 원래 한민족이지만 1950년 한국전쟁 이후 서로 적이되어 약 70여년동안 휴전상태로 대치 상태에 있습니다. 세월이 많이 흘러 이제 왕래도 잦아지고 '사랑의 불시착' 같은 스토리의 드라마도 자주 만들어질 만큼 분위기가 많이 좋아 졌습니다. 그러나, 한국과 북한은 종전이 아닌 협정에 의해 전쟁을 쉬고 있는 휴전 상태인 것은 분명합니다. 만약 이런 두 나라 사이에 공공의 적이 생긴다면 어떻게 될까요? .. 읍참마속 뜻과 유래 - 공정과 상식을 위해 필요한 것 오늘은 사자성어 읍참마속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여러분, 위 사진의 '정의의 여신상'에 눈가리개를 씌운 이유는 무엇일까요? 아시는 분은 잘 아시겠지만, 그건 바로 정의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공정함'이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보통 법원이나 헌법 등 법과 관련된 상징으로 정의의 여신상을 자주 사용하는데, 정의의 여신상을 표현한 조각상에는 칼과 저울 그리고 눈가리개를 꼭 새겨 넣습니다. 각각의 도구가 의미하는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오른손의 칼 : 법의 힘을 의미합니다. 누구라도 법을 지켜야 하며, 법은 무엇보다도 무서운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왼손의 저울 : 법의 엄격함을 의미합니다. 법의 기준에 맞게 잘잘못을 정확하게 따지겠다는 의미입니다. 눈가리개 : 법의 공정함을 의미합니다. 누구나 평등하게 법의.. 기호지세 뜻과 유래 - 그만 둘 수 없을 땐 그 상황을 즐기세요 오늘은 사자성어 『기호지세』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기호지세에는 호랑이가 나오는데, 한번 호랑이 등에 올라탄 후에는 멈출 수도 내려올 수도 없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아래 사진을 보면 소녀가 호랑이 등에 올라 타 있는데 가짜 호랑이임에도 굉장히 위협적입니다. 소녀보다 몇 배는 커보이는 저 호랑이 조차 실제 호랑이보다는 작은 경우가 많습니다. 옛날에 우리나라에서 실제로 살았던 '시베리아 호랑이'는 수컷의 경우 길이가 최대 300cm~400cm, 몸무게가 370kg 이상까지 자라서 거의 사람 몸집보다 3~4배나 크고, 달리기는 시속 약 60km/h의 빠른 속도로 사람보다 3~4배 빠른 동물이었습니다. 이런 거대하고 빠른 호랑이가 미친 듯이 달리는 와중이라면 그 위에 올라탄 누구라도 내려 오기 힘들 겁니다... 각주구검 뜻과 유래 - 변화를 두려워 하는 사람 안녕하세요. 오늘은 사자성어 각주구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어린이 여러분은 사진 속의 기계가 무언지 아시나요? 컴퓨터 키보드처럼 자판도 달려 있어서 글씨를 입력하는 기계 같긴 한데, 딱히 잘 모르는 학생이 많을 겁니다. 사진 속 기계는 바로 '타자기'입니다. 예전 컴퓨터가 나오기 전에는 종이에 타이핑할 때 바로 이 타자기를 사용했답니다. 이 타자기의 자판이 발전하여 지금의 컴퓨터 키보드가 된 것입니다. 정말 신기하죠? 😳😳 물론, 요즘도 타자기를 사용하는 사람들도 더러 있습니다. 옛 향수에 젖어 아직도 타자기 끝에 종이를 넣고 자판을 '타닥~타닥~' 두드리면서 글씨를 쓰는 느낌을 좋아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미 우리는 컴퓨터 키보드를 거쳐 액정에 손가락으로 휘갈기거나 심지어는 말을 하면 글로 바뀌는.. 안빈낙도 뜻과 유래 - 집이 작아도 행복할 수 있는 이유 안녕하세요. 오늘은 사자성어 안빈낙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옛날 사람들은 대부분 위 사진과 같이 나무나 흙으로 집의 뼈대와 벽을 만들고 풀과 짚단 등을 덮어 집을 지었습니다. 집의 규모도 쓸데없이 크지 않고 자신들이 사는데 불편함이 없을 정도의 크기면 만족하였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의, 식, 주를 직접 만들고 구해야 하던 시대였기 때문에, 뭐든 과하면 그만큼 신경써야 할 것들도 많아졌습니다. 먹을 것과 입을 것 또한 귀하던 때라서 자신에게 필요한 만큼만 있어도 풍족하다고 여기던 시대였습니다. 제가 처음부터 굳이 옛날 시대상을 말씀 드린 이유는, 안빈낙도의 뜻만 보고 현 시대에 그대로 반영을 할까 싶어 말씀 드린 겁니다. 안빈낙도 뜻 안빈낙도는 한자어로 安(편안할 안), 貧(가난할 빈), 樂(즐거울.. 결초보은 뜻과 유래 - 고양이가 자꾸 뭘 물어오는 이유 안녕하세요. 오늘은 사자성어 결초보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여러분 중에 고양이를 키우거나 동네 길고양이와 친하게 지내는 분은 겪었을지 모를 엽기적인 경험. 그건 바로 고양이가 자꾸 뭘 물어오는 것인데, 대부분 동물의 죽은 사체를 물고 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왜 고양이는 이런 행동을 하는 걸까요? 그 이유는 자신과 함께 생활하는 사람이나 친절하게 대해준 사람에게 고마움을 표시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가끔은 '동물이 인간보다 낫다!'고 생각한 적이 있는데, 인간과 어울리며 세상을 살아가는 대부분의 동물들은 고마움을 표현하고 의리를 지킬줄 아는 그야말로 멋쟁이들이기 때문입니다. 결초보은 뜻 결초보은은 한자어로 結(맺을 결), 草(풀 초), 報(갚을 보), 恩(은혜 은) 이라고 쓰는데, 말 그대로 '풀을 묶어.. 토사구팽 뜻과 유래 - 제발 개를 배신하지 마세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사자성어 토사구팽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여러분은 비글에 대해 잘 아시나요? 비글은 눈이 사슴처럼 크고 커다란 귀가 얼굴 양쪽으로 축 늘어져 있어서 정말 귀여운 견종입니다. 그런데, 사실 비글은 유명한 토끼 사냥꾼입니다. 친숙한 외모때문에 그저 인간의 말을 잘 따르는 애완견으로만 생각하시는 분이 많은데, 별명이 '악마견'일만큼 사냥에 탁월한 재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비글이 사납다거나 인간을 공격하는 견종은 아닙니다. 성격 자체는 온순하고 애교도 많아서 주인을 잘 따른답니다. 🐶🐶 오늘의 사자성어 토사구팽에는 토끼도 나온답니다. 저는 실제로 토끼를 키웠었는데, 정말 너무 너무 귀여워서 정신을 못차릴 정도입니다. 물론, 녀석의 응가를 치울 때도 정신을 못차리죠. 😌😌 토사구팽.. 군계일학 뜻과 유래 - 스스로 빛나는 보석 같은 존재 안녕하세요. 오늘은 사자성어 군계일학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학(두루미)은 예로 부터 깨끗하고 아름다움을 간직한 새로 표현되었습니다. 우리 선조들은 학을 통해 청렴하고 청빈한 백성의 세상, 즉 세상이 평온하여 백성이 행복한 태평성대의 세상을 꿈꿔 왔습니다. 또한 신선이 사는 세계를 표현할 때도 학은 단골처럼 등장하였습니다. 이처럼 학은 어떠한 경우에도 때가 묻지 않은 순수한 동물로 그려졌으며, 욕심을 부리지 않고 유유자적하며 자연을 벗삼아 살아갔던 선비에 빗대기도 했습니다. 우리나라 조상들에게 두루 사랑받았던 학을 사자성어 군계일학에서는 어떻게 표현하고 있을까요? 이제부터 알아볼까요? 군계일학 뜻 군계일학은 한자어로 群(무리 군), 鷄(닭 계), 一(하나 일), 鶴(학 학) 이라고 쓰는데, 말 그대로.. 이전 1 2 다음